1. 패시브 투자
패시브 투자는 ETF나 인덱스 펀드 등을 통해 저렴한 운용보수로 시장 수익 자체를 추종하는 방식
2. 액티브 투자
다양한 기법으로 시장보다 많은 수익을 내려는 투자 방식
3. 가치 투자
주식을 사는 것이 곧 그 회사를 사는 것이라 믿는 방식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사서 적정 혹은 그 이상의 가격에 파는 투자 방식
- 워렌 버핏의 투자 방식
4. 기술적 투자
심리, 차트 분석, 거래량 등을 보고, 미래를 예측하는 방식
* 모멘텀 효과 : 최근 오르는 자산이 계속해서 오르는 효과
5. 매크로 투자
각종 지표를 통해 경제 동향을 분석해 자산의 오르내림을 예측해 투자하는 방식
경제 성장률, 금리, 환율, 실업률 등의 경제지표를 통해 주식, 채권, 금 등의 가격 변동을 예측
- 살때, 팔때, 벌때 책의 내용은 매크로 투자 방법에 대해 서술하고 있음
6. 정보 투자
뉴스 등 기업의 분기 수익, 발표 등의 정보를 통해 투자하는 방식
개미들의 주된 방식으로 보이며, 무시할 수 없는 방식
데이트레이딩에 적합한 것 같다
7. 퀀트 투자
규칙 기반 투자로, 오로지 자산의 가격, 기업의 재무 데이터 등 수치에 입각하여 투자하는 방식
현재 강환국 작가의 거인의 포트폴리오를 읽고 있는데...
굉장히 엄격하게 규칙을 지키는 것이 포인트 인 것 같다.
- 거인의 포트폴리오 책에서는 ETF 퀀트 투자를 위주로 다루고 있다.
'기타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마켓 타이밍 기법이란? (0) | 2023.04.07 |
---|---|
LTV (Loan to Value ratio) 주택담보대출비율 이란? (0) | 2022.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