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Server

리눅스 명령어 정리

Dane.Kim 2021. 11. 30.

명령어의 문법 확인하기 :

1. 명령어 --help

ex) cd 명령어의 옵션을 확인하고 싶으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 cd [디렉터리 경로]

1. 디렉터리를 이동하는 명령어입니다. 단순하지만 기본적인 명령어로 가장 자주 사용됩니다.

- cd [디렉터리 경로] : 이동하려는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 cd . : 현재 디렉터리

- cd .. :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 cd $변수명 : 변수에 지정된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 cd / : 가장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 pwd : 자신이 속해 있는 디렉터리를 보여줍니다.

* ls : 디렉터리의 내용을 보여줍니다.

ls -l : 각 파일의 모드, 링크 수, 소유자, 그룹, 크기(바이트), 최종 수정 시간을 표시합니다.

ls -a : 숨겨진 파일이나 디렉토리도 보여줍니다.

. : 현재 디렉토리

.. : 현재 디렉토리의 부모 디렉토리를 나타냅니다.

* history : 명령어의 이력을 확인합니다.

 

history 저장했던 것들 파일로 저장하기! history > history.txt ==> 그리고 확인하면 됩니다.

* touch : touch 명령 다음에 파일이름을 입력하면 그 파일의 타임스탬프를 현재시간으로 업데이트합니다.

- stat 명령을 이용하여 타임스탬프(atime, mtitme, ctime)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time : 접근시간,

- mtime : 수정시간

- ctime : 변경시간

* 리다이렉션(redirection) : 기본적으로 명령어의 결과는 표준 출력 방식인 모니터에 출력이 됩니다.

-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이용하면 명령의 출력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기존 파일의 내용을 삭제하고 새로 결과를 저장할 때는 >를,

- 기존 파일의 내용 뒤에 결과를 추가할 때는 >>를 사용합니다.

< / << : 입력 방향 재지정

> / >> : 출력 방향 재지정

1. 입력 리다이렉션

- #[명령어] < [파일]

- 명령어의 입력(0)으로 파일을 사용

2. 출력 리다이렉션

- #[명령어] 1> [파일]

- 화면 (표준 출력장치)에 출력되는 결과를 파일의 내용으로 사용하는 방법

ls -l > result를 하면 ls -l 의 값이 result로 넘어가서 출력으로 저장됩니다.

cat result를 하면 result의 값을 출력합니다.

리눅스 라인 수 보이게 하기 :

1. vim ~/.vimrc을 입력

2. set number를 이용해서 라인 보이게 하기

 

Tree 명령어 옵션

Tree [디렉토리명] [-L 깊이]

ex) tree / -L 1

ex) tree / /f : /f 옵션을 추가함으로써 폴더 속의 파일 목록들도 알 수 있습니다.

* mkdir

- make directory의 약어로서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 때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입니다.

- mkdir은 umask 값의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유념합니다. umask 값은 /etc/bashrc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linux 디렉토리 생성

mkdir linux

- 소유권 : 어떠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소유하여 지배하는 권리

- 허가권 :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권리

댓글